심정지·심뇌혈관질환 사망률 감소 전폭 지원
상태바
심정지·심뇌혈관질환 사망률 감소 전폭 지원
  • 박은아 기자
  • 승인 2009.09.24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2008 심뇌혈관질환 조사감시 결과 발표…응급처치 교육 및 구급 장비 지원 등 강화

 

보건복지가족부(장관 전재희)는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규모, 특성 등을 다룬 2008년 심뇌혈관질환 조사감시 결과('06.1∼'07.12)를 발표했다.

조사감시 결과 심정지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40∼42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장소(26.6%)보다 가정(58.0%)에서 2배 이상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 생존율의 경우 2.4%(사망 93.8%, 미상 3.8%)로, 미국 8.4%, 일본 10.2%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병원 전 특성을 보면 구급차 도착시간(7.8분), 병원 이송시간(24.5분) 등은 양호한 반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1.4%)과 구급대원의 자동제세동기 실시율(9.4%) 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기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회복율이 높아 심폐소생술 실시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정지의 주요 원인질환인 심근경색증 등록자료를 분석한 결과 8.1%의 환자가 사망했는데 환자 발생시 119구급차를 이용한 경우가 22.6%에 불과하고, 타 이송수단을 선택한 경우 119구급차(88분)에 비해 3배 이상(241분) 지연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의료기관에서 관상동맥 중재술이 적절히 시행된 환자들은 47.9%로, 적절한 이동수단 선택과 병원 내 신속한 치료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다른 주요원인질환인 뇌졸중의 경우 7.5%의 환자가 사망했으며, 중증의 장애가 나타나는 비율도 29.8%였다.

특히 증상발생 후 119 신고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려 1시간 이내가 51.8%에 불과했으며 119구급차 이용률도 30.6%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증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7시간으로, 치료가능한 기준시간인 3시간 이내가 33.8%에 불과하고, 6시간 이상도 52.8%에 달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홍보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심정지환자 발생 시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를 아파트(5개 시군구), 공공장소(160여개) 등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119구급대의 전문적 응급처치를 향상하기 위한 지도의사를 상황실에 배치하는 시범사업이 도입되고 구급차량 및 전문장비를 대폭 보강할 계획이다.

심뇌혈관질환에 대해 신속하고 전문적인 치료가 제공되도록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역시 현재 6개소에서 9개소로 추가되며 심혈관·뇌혈관 전문응급의료센터(28개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와 함께 조사체계를 계속 개선해 국가 수준에서 심정지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 위험요인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대표 조사로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