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질환’ 20~30대 젊은층이 더 많다
상태바
‘탈모 질환’ 20~30대 젊은층이 더 많다
  • 강민홍 기자
  • 승인 2011.03.27 1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진료환자의 48.4% 육박…전체 환자도 최근 5년간 24.8%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이하 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에 따르면 ‘피부 부속기의 장애’로 분류되는 ‘탈모(L63~L66)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5년 14만 5천명에서 2009년 18만 1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 동안 24.8% 증가했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5년 307명에서 2009년 374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 진료환자(실인원)는 2009년 기준으로 남성 9만 3천명, 여성 8만 8천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았으며, 20~30대에서는 남성 진료환자가 많은 반면, 40대 이상은 여성 진료환자가 더 많았다.

특히 전체 진료환자 중 20~30대 진료환자의 비율이 높았는데 20~30대가 8만 8천명으로 전체의 48.4%를 차지했으며, 20세 미만 진료환자도 2만 5천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탈모 진료환자의 분포를 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탈모’ 질환의 상병별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09년 기준으로 원형탈모증(13만 7천명) > 흉터성 탈모증(2만 2천명) > 안드로젠성 탈모증(1만 2천명) > 기타 비흉터성 모발손실(9천명) 순(順) 이었다.

원형 탈모증과 흉터성 탈모증의 경우 성별 진료환자가 비슷한 반면, 안드로젠성 탈모증은 남성(9,741명)이 여성(2,445명)보다 4.0배 많았고 기타 비흉터성 모발손실은 여성(6,421명)이 남성(3,389명)보다 1.9배 많았다.

또한 안드로젠성 탈모증의 경우 2009년 진료환자수가 2005년보다 70.2%(남성 79.7%, 여성 40.5%) 증가하였으며, 흉터성 탈모증(흉터성 모발손실)은 2005년 대비 2009년에 64.9%(남성 56.9%, 여성 72.9%) 증가했다.

탈모와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해마다 증가해 2005년 102억 원에서 2009년 153억 원으로 나타나, 2005년 보다 50%가 증가했다.

아울러 공단이 부담한 2009년 탈모질환 급여비는 모두 101억 원으로 외래 77억 원, 약국 24억 원, 입원 8천8백만원 순(順)이었다.

공단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탈모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 “탈모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으로 원형으로 탈모가 시작되는 원형탈모증과 주로 두정부에서 진행되는 안드로젠성 탈모증, 흉터를 동반한 반흔성 탈모증과 특별한 증상 없이 나타나는 비반흔성 탈모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이중 원형 탈모증은 전 인구의 0.16~0.2%에서 있으며, 약 1.7%에서 일생 중 한번은 원형 탈모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돼 있다”면서 “안드로젠성 탈모증(남성형 탈모증)은 일반적으로 40~50대에 시작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사춘기 직후에 시작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한 조 교수는 “이에 한창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20~30대의 젊은층에서도 탈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 “이 시기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 등에 있어 외모에 관심도가 높아지며 초기증상만 나타나도 병원에 찾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탈모의 예방 및 관리법’에 대해 조 교수는 “남성형 탈모의 경우 특별한 예방법이 없으며, 원형 탈모인 경우에는 평소 스트레스를 줄이고 규칙적인 생활과 과도한 음주나 담배를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관리는 청결이 중요하나 너무 과도하게 자주 머리를 감는 것은 두피나 머리카락에 자극을 주어서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 교수는 “약용 샴푸를 사용할 경우 샴푸 후 바로 헹구지 말고 5~10분 정도 기다렸다가 헹구는 것이 좋으며, 평소 과도한 염색이나 파마 모발용 화장품 시용은 조심하는 것이 좋다“고 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