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al Antonia's line] 아름다운 여성성을 만나다
상태바
[Dental Antonia's line] 아름다운 여성성을 만나다
  • 신순희
  • 승인 2005.01.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계의 미학, 차혜영 치과의원 원장

2005년 새해가 밝은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달이 다 지나가버려 아쉬운 1월말, 압구정동 차혜영치과의원에서 차혜영선생을 만났다. 선생을 만나고 헤어지기까지 몇시간동안, 나는 환한 태양빛 속에서 에너지를 담뿍 머금은 봄날의 새싹마냥, 내안에 가득 차올라오는 충만된 기운을 느꼈다.

정말 놀라왔다. 선생을 익히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경험했겠지만, 선생에게서 나오는 빛은 세상을 밝게 비추고, 따뜻하게 감싸고, 생명을 움트게 하고, 즐겁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바로 생명의 힘이다.

생명을 움트게 하는 힘

1961년 서울치대에, 100명 중 3명의 여자신입생 가운데 한명으로 입학한 차혜영 선생은, 졸업후 연세대에서 교정과 수련을 마치고 개원했다. 졸업과 수련, 개원이라는 가장 평범한 치과의사의 길을 걸으면서 선생은 아주 특별한 인생을 살아오셨다.

1989년, 아시아태평양치과의사연맹 총회가 서울에서 열릴때, 당시 대한치과의사협회 이사를 맡고 계시던 선생은, 치과의사와 부인들로 구성된, 100명이 넘는 대규모 합창단을 조직해 개폐회식 행사를 치뤄냈다. 그 합창단이 바로 지금까지 14회째 정기공연을 이어오고 있는 덴탈코러스이다.

2000년, 제15대 국회에서 '구강보건법'이 제정되어 통과될 때 선생은 한국소비자연맹 이사로 연맹의 정광모회장과 함께 강력한 측면지지 활동으로 의협 등의 반대의견을 압도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선생은 1997년부터 지금까지 북한에 25차례에 걸친 지원을 펼치고 있는 어린이 의약품지원본부(전 북한어린이살리기의약품지원본부)의 자문위원, 2002년 스마일복지재단 추진위원회 공동대표, 2004년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소속 '자율분쟁조정위원회'의 전문가 대표, 치협의 사이버금연운동 추진 등 모두 열거하기 힘들 만큼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즐거움과 나누는 사랑

대단한 활동력이다. 예순이 넘으신 선생이 살아오신 세월이 요즘과 같지 않음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은 무엇인가? 끊임없이 세상과 소통하고 사람을 움직이고 우주를 가꾸어나가는 선생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선생에게 물었더니 두가지를 꼽는다.

"재밌잖아, 그리고 내가 받은 사랑을 돌려줘야지" 라고. 즐거움과 나누는 사랑. 바로 그것이었다.

아무런 기반도 없는 상태에서 100 여명의 사람을 조직해 합창단을 꾸리는 일이란 얼마나 엄청난 일인가? 그것도 단 몇 달의 준비기간으로 말이다. 덴탈코러스를 처음 조직해 공연을 마치고 나서 선생은 펑펑 울었다. 다들 불가능할 것이라 말렸던 일을 해낸 보람과 그간의 힘들고 어려웠던 기억이 솟구쳐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다 한다.

연습 때마다 밥값을 대기도 쉽지 않았을 때, 부인들이 하나 둘 음식을 해오고 돌아가며 저녁담당을 맡아 서로가 배불리 먹었던 선생의 기억을 들으며, 나는 물고기 두마리와 보리개떡 다섯개로 수많은 군중을 먹였다던 예수의 '오병이어'의 기적이 떠올랐다. 나눔이 익숙한 사람들에게 이미 기적은 생활인 것이다.

선생은 지금도 매주 월요일, 그렇게 눈물로 가꾼 덴탈코러스에서 노래 연습하는 것이 가장 즐겁다고 하신다.

8남매의 장녀였던 선생은 부모님께 참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딸이다. 물론 지금도 여든이 넘으신 정정하신 어머님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고 부군인 전 서울치대 학장 고재승 박사의 따뜻한 사랑과 배려, 또 많은 선배들과 지인들의 사랑이 오늘날 선생을 있게 한 밑거름이라고 선생은 자평한다. 하지만 내가 본 선생의 빛은 받은 사랑보다 훨씬 커다란 '베푼 사랑' 속에 있었다.

존재가 바로 에너지인 사람

대여치나 서여치임원,치협여성이사 등 후배들이 도움을 요청하면 언제라도 달려가 당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어 도와주는 마음, 동료 치과의사들 부인과의 격의없는 사귐, 그렇게 많은 사람과 사랑을 나누며 관계를 맺으며 사람을, 그리고 후배를 키워내는 것이 또 그렇게 재미나다는 선생에게서 '관계의 미학'을 본다.

여성은 남성보다 관계지향적이라는 평이 있다. 차혜영 선생을 보면, 거대한 관계망을 보는 것 같다. 개인적인 관계(network)에서 사회적 관계까지, 선생의 인생이 그 관계망 속에 녹아 있고, 그 관계망은 곧 선생이다. 선생은 딸로, 아내로, 어머니로, 누군가의 후배, 친구, 선배, 의사로, 또 사회활동가로 거대한 관계망의 중심에 있다.

그러한 풍부한 관계망은 선생에게 실질적인 자원이 되어 때때로 일을 이끄는 동력이 되곤 했다. 수 많은 사람을 엮어 일을 추진하고 통로를 뚫고 힘을 보태고 일을 성사시키는 동력 속에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가끔 나는 나 자신이 관계 속에서만 존재하고, 나 자체의 존재감이 소멸되는 듯한 두려움을 느낀 적도 있지만, 관계야말로 존재의 의미가 드러나는 유일한 통로이다.

물질의 본질인 질량은, 현대물리학에서는 어떤 요소로 구성된 불가분의 실체가 아니라 단지 관계 속에서만 확률적으로 존재하는 에너지로 설명된다. 상대성 이론과 양자론으로 물질의 근본실체는 관계 속에서만 존재할뿐, 불변의 어떤 형태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어쩌면 인간의 존재도, 고정 불변의 어떤 실체가 아니라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에너지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 따뜻한 관계 속에서 사람들을 보살피고, 돌보고, 힘을 줄 때 질량감이 생기는 그런 사람. 존재가 바로 에너지인 사람. 그런 사람이 바로 선생이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선생의 인간관계는 그 수도 많고 참 다양하다. 그래서 선생은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같다. 바쁘고 신경쓸 것도 많지만, 그 모든 관계를 조율해 하나의 하모니를 만들고 그 아름다운 선율은 보는이, 듣는이로 하여금 저절로 감정이 순화되게 하는, 그런 사람이 바로 선생이다.

때로는 웅장한 교향곡을 지휘하고, 때로는 소박한 실내악을 보여주기도 하면서, 선생의 음악은 향기처럼, 조용히 어느새 주위 사람을 행복하게 감싸 안는다.

관계망을 지휘하는 그런 지휘자의 모습은 비단 선생만의 모습이 아닐 것이다. 우리 모두 우리 주위의 여러 관계 속에서 가끔은 불협화음도 내고, 가끔은 훌륭한 연주를 선보이며 살고 있다. 그래서인지 선생의 삶은 특별하면서도 평범하고,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느낌을 준다.

공자가 그랬던가? 마을의 모든 사람에게 칭찬받는 사람은 진정 선인(善人)이 아니라고. 그러나 마을의 모든 사람에게 칭찬받는 사람이 진짜 존재할 수만 있다면 그 자체로 대단한 것이고, 마을을 위해 대단한 도움이 될 것같다. 마을의 마음이 하나로 모아지는 길이 될 테니까. 선생이 바로 그런 사람이 아닐까 싶다.

개구장이처럼 신나고 즐겁게

물론 관계만이 선생의 전부는 아니다. 오늘도 선생은 20대부터 해 온 요가로 아침마다 신체를 단련하고, 치과에 출근해 환자를 보며, 때때로 인도철학자 라다크리슈난의 철학책을 읽고, 틈날 때마다 노래 연습을 한다.

시와 소설을 좋아했던 문학소녀 답게 아직도 최명희의 '혼불'을 읽으면 가슴이 저미고, 장정일의 '삼국지'가 흥미롭다. 직접 그린 유화를 환자대기실에 걸어 놓고, 한때는 가야금 때문에 손가락이 아파서 왼손으로 밥먹는 연습을 해볼까 고민도 했고, 여전히 월요일마다 덴탈 코러스 연습에 간다.

그런 꾸준함의 결과로 2004년 4월에는 몇몇 지인들과 연주회를 열어 독창 무대를 선보이기도 했다. 원장실을 놀이터라 부르는 선생은 여전히 아이처럼 웃고, 소녀처럼 호기심 많고, 개구쟁이처럼 신나고 즐겁게 산다.

"The personal is political"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는 여성주의 슬로건이 있다. 이 말은 사적으로 보이는 여성에 대한 억압이 사실상 사회 구조적, 정치적 억압기제에서 전혀 자유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지만 차혜영 선생을 보면서, 나는 그 슬로건의 새로운 의미를 읽었다.

관계지향, 돌봄(보살핌, 양육), 나눔 등 여성성의 극치인 가치들이 개인적인 영역은 물론이요, 정치적인 영역에서도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음을 말이다.

아름다운 젊은이

말이 아닌 삶으로 이 모든 것을 보여주신 선생의 모습은 그 어떤 여성주의 책보다도 나에게 용기를 주었다. 닮고 싶고, 닮을 수 있을 것 같은 여성을 만나는 경험은 나에게도, 다른 이들에게도 그리 흔치는 않다. 선생의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삶은 어쩌면 우리 모두가 정말 꿈꾸는 삶이 아닐까 싶다.

행복의 파랑새를 바로 치과 원장실 안에서 키우고 있는 선생을 보고 돌아온 날, 나는 내 원장실 구석에 먼지가 쌓인 채 덩그러니 놓여있는 새장을 찾아 먼지를 닦았다. 새장문을 열어 놓으면 새는 다시 돌아올 것이다. 아니 어쩌면 새가 벌써 돌아와 있는지도 모르겠다. 내 마음의 먼지만 닦아내면 보일지 모른다. 조금 시간은 걸리겠지만 말이다.

선생은 정말 멋진 여성이고, 아름다운 젊은이다. 선생과 함께한 짧은 시간은 아주 긴 여운으로 남을 것같다.

신순희(서울 이대푸른치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