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치과의료 뛰어 넘는 ‘구강보건의 미래’
상태바
현대 치과의료 뛰어 넘는 ‘구강보건의 미래’
  • 윤은미 기자
  • 승인 2012.02.10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치 정책연구회, 구강보건의 뉴패러다임 소개…사회적 환경 개선과 더불어 보건정책 수립할 것 강조

 

현대 치과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구강보건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건강한 환경 조성 및 정책 수립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연계한 역량 개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변화 등 개인 및 집단의 다각적인 노력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됐다.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구강보건정책연구회(회장 김용진 이하 정책연구회)는 지난 8일 강남역 부근 세미나실 ‘공간더하기’에서 ‘구강보건의 현황과 이해’를 주제로 제1회 열린세미나를 열고, 구강보건학의 새로운 대안 마련을 위한 논의의 장을 펼쳤다.

▲ 건치 정책연구회 제1회 열린세미나
이날 연자로 참석한 강릉원주대 치과대학 정세환 교수는 과거 보건학의 흐름을 되짚어보고, 새로운 구강보건 원리에 대한 소개와 함께 향후 구강보건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 정세환 교수
정세환 교수는 “오로지 과학적 진단법에 의해 질병을 정의하던 과거 보건학이 점차 현대의학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사회적 배경과 질병의 연관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면서 “단순한 일차보건의료의 개념을 넘어선 새로운 건강증진모형이 탄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구강보건학에 있어서도 같은 맥락으로 적용된다. 정 교수는 “20세기 초반 구강보건활동과 치의과학이 융합하면서 구강보건이 치과치료의 성과로 치부됐으나 실상은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며 “치과치료와 예방사업만을 통한 구강건강 증진에는 한계가 있어 여러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식품, 생활환경 및 습관 등 구강 질병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위험요소들을 방치한 채로는 제아무리 보건 교육 등 예방사업을 추진해도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정 교수의 설명이다. 즉, 질병의 발병이 우리 사회적․문화적 환경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의료적 접근만으로는 해결이 불가한 구조라는 것이다.

이에 정 교수는 건강증진의 새로운 개념과 원리를 담은 모형을 제시하고, ▲실천 가능한 지역사회 역량 강화 ▲잇솔질 등 개인의 기술 개발 ▲구강보건시설 개선 등 환경조성 ▲금연사업 및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등 공공정책 수립 ▲예방중심의 주치의제 등 보건의료서비스의 인식 개선 등을 함께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정 교수는 “국가별 건강수준은 반드시 해당 국가의 의료제도에만 국한돼 판단할 문제는 아니다”면서 “질병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위험물품 제조기업에 대한 정부의 제약이 없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정 교수는 “이러한 위험 요소를 제재할 제도를 마련키위해서는 한 가지 위험성만으로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며 “건강에 미치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찾아 보다 설득력 있게 제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테면 과도한 당분섭취는 치아우식증뿐 아니라 비만과 성인병의 발병 원인이 되기도 한다거나, 흡연은 치주병을 비롯해 심혈관 질환 및 암 발병율을 높이는 위험 요인이라는 점을 함께 부각시켜 제재 정책을 제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치과계가 오랜 시간 추진 중인 수불사업의 경우에도 구강보건 외의 분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찾아 제시하고, 불소를 보다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한다면, 더 많은 지지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 교수의 제안이다.

아울러 정세환 교수는 구강건강을 위한 식품과 영양 정책으로 ‘충치식품퇴출운동본부’(가칭)를 추진해 볼 것을 제안하고, 건치를 포함한 치과계가 설탕저감화 정책 추진에 관심을 갖고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정책연구회 열린세미나는 매달 넷째 주 수요일 진행될 예정이며, 차기 세미나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배광학 교수의 ‘국가 구강보건 정책과 사업 현황의 이해’를 주제로 오는 22일 개최된다. 자세한 일정은 정책연구회 홈페이지(http://cafe.naver.com/policyteam.cafe)에서 확인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