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을 약수로 만들자
상태바
수돗물을 약수로 만들자
  • 편집국
  • 승인 2005.10.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인일보 10월 18일자 '오피니언 발언대' 글

'수돗물에 불소를 넣어 충치예방을 바라는 인천시민모임' 대변인을 맡고 있는 김유성 원장(인천 이창호김유성치과)이 지난 18일자 경인일보 '오피니언 발언대'에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과 관련 글을 투고했다. 본 지에서는 글 전문을 싣는다.

편집국

우리가 매일 먹고 마시는 모든 음식에는 불소가 들어 있다. 특히 불소가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녹차, 매운탕, 곰국 등이다. 불소는 우리의 몸속에 자연스럽게 들어와서 뼈와 치아에 주로 저장된다. 이쯤 되면 평생친구라고 불러도 부족하지 않을 듯하다.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는 이로운 물질이다. 유명한 약수를 평생 마실 수 있다면 이 세상의 충치는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산속에서 나오는 약수나 지하 암반수를 끌어올린 샘물에는 충분한 불소가 들어 있지만, 주로 빗물로 이루어진 수돗물에는 불소가 부족하다. 심지어 샘물조차도 한여름 장마철이 지나면 빗물이 많이 스며들어 불소가 부족해진다.

그렇다면 부족한 불소는 어떻게 보충해야 할까. 몸에 좋다는 약수와 비슷한 정도로 수돗물에 불소를 보충해주면 된다.

그래서 나온 것이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이다. 이는 말 그대로 불소를 적당하게 유지해주자는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대부분의 나라는 수돗물의 불소를 1.5ppm이 넘지 않도록 정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0.8ppm 정도의 불소가 충치예방에 적당하다. 오색약수(1.3ppm) 창신약수(1.5ppm) 달기약수(1.24ppm) 초정약수(0.66ppm) 등에 비하면 부족해 보이지만 그 정도로도 충치예방 효능은 충분하다.

수돗물의 불소를 조정하는 일은 이미 60년 전에 시작되었다.

가장 역사가 오래된 미국의 경우, 처음에는 미시간주의 그랜드래피드 한 곳에서만 시작했으나 연구를 계속하면서 점차 확대하여 지금은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불소의 효능을 누리고 있다.

몇 년 전에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가 위치한 캘리포니아주 전체에 이 사업이 의무화되었다. 워싱턴도 마찬가지다. 불소의 효능은 만족할만한 것이었다. 미국 연방복지부는 20세기 100년 동안에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 10대 공중보건사업의 하나로 이 사업을 선정했다.

하지만 호사다마라고나 할까. 항상 일이 순조롭게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어디에나 맹목적인 반대자는 있는 법이다. 60년 전 불소를 조정하기 시작한 바로 그 순간부터 반대자가 생기기 시작했다.

그들은 불소를 반대할 뿐 아니라 아이들에 대한 예방접종도 반대하고, 영양소 파괴를 막기 위한 우유 저온살균도 반대하며, 수돗물의 염소소독도 반대하고, 심지어는 생명을 살리기 위한 장기이식도 반대했다.

반대하는 이유도 가지가지여서 암을 비롯한 온갖 질병이 생긴다고도 하고, 공산주의자나 군대, 관련 기업 등의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얄밉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불소에게는 큰 도움이 되었다.

반대하는 주장이 나올 때마다 그 부분에 대한 연구가 거듭되어 이제는 불소에 대하여 모르는 것이 없을 만큼 많은 연구 성과가 모아졌기 때문이다.

현행 구강보건법에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모아서 불소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의견을 모으는 방법은 여론조사를 하거나, 가능하다면 주민투표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이런 민주적인 절차가 지켜지지 않는다. 모 지역에서는 여론조사 결과 불소찬성이 90%이상 나왔지만 반대자 때문에 하지 못했다.

반대자의 수는 적지만 반대하는 방법이 매우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정치인인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의원들이 조용한 다수보다는 적극적인 반대자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장향숙 의원 등 11명의 국회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이런 일을 방지하고자 한다.

지역주민의 반대가 확실할 때를 제외하고는 단체장이 이 사업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개정안이 하루빨리 국회를 통과해야 온 국민의 충치로 인한 고통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김유성 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