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불 관련 동영상..(2003. 1.)< 수불 안정성에 관한 거의 모든 문제는 검증되었다! > * 1945년 미국의 그랜드래피드에서 최초로 실시된 이후, 반세기 동안 불소의 안전성에 관한 반론이 있었지만, 모든 반대 의견들은 이미 과학적인 검증을 거쳐 반박되었다. * 3.0~8.0ppm 의 고농도자연불화지역(지역의 음용수에 자연적으로 고농도의 불소 들어있는 경우)의 역학조사를 통해 불소가 첨가된 음용수가 각종 만성병 및 다른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검증하였다. * 대표적인 불소 섭취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반상치의 경우에도 불소가 0.8~1.0ppm 정도의 적절한 농도로 첨가된 수돗물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반상치는 생기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그 외에도 환경이나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제도나 법, 종교에따른 문제에 이르기 까지 모든 추측 가능한 문제점들이이미 제기되었고, 이러한 문제점들은 충분히 검토되어 수돗물불소농도조정 사업의 안전성은 이미 검증되었다. * 인간이 음식에 이용하는 어떠한 물질도 불소만큼의 검증을 거치지는 못했다! *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는 불소화반대 연구논문들은 전혀 새로운 문제가 아닐뿐만 아니라 이미 과거에도 줄기차게 제기되었던 문제를 새롭게 겉포장만 했을 뿐이다. < 세계의 현황 > * 미국 50대 도시 중 45개 도시가 불화사업을 시행(2002년 1월)하고 있으며, 지난 2000년에는 인구 1000만의 LA시에서 새롭게 불소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중 70%는 불화사업의 혜택을 받고 있다.* 2002년 현재, 전세계에서 약 58개국(인공+자연), 3억명 이상의 인구가 불화사업의 혜택을 받고 있다. < 인증단체 > *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치의사협회(ADA)를 비롯한 세계 80여개 이상의 단체에서 인증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대한치의사협회를 비롯한 각종 단체에서 이 사업의 안전성을 인증하고 있다. * 또한 2003년 5월 대한의사협회 수불연구 용역검토결과에서도 안전성은 이미 검증되었다. <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 >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통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구강 질환의 예방과 구강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수돗물에 대한 불소화 사업을 시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자료제공: 건시연 저작권자 © 건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국 다른기사 보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당신만 안 본 뉴스 군 특공연대에서도 ‘구강보건교육’ “구강건강 불평등 심각… 정부가 나서야”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드는 전태일의료센터!” 시민공대위, 성남시의료원 정상화 ‘촉구’ 신흥, ‘SID 2023 임상포스터 시상식’ 진행 치과의원, 내년 3월부터 비급여 보고해야 볼테르와 ‘반공’의 천박함
주요기사 오스템, 전주서 '투명교정 원데이' 세미나 오스템, GAMEX 2023 '성료'… "전시부스 대성황" ‘불소활용’ 청년 서포터즈 모집 시작 스무살 녹색병원 “함께 만드는 건강한 세상” 연세대 교정과, 신흥양지연수원서 ‘워크숍’ SIDEX 2024 부스 신청 12월 31일까지 서둘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