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 시와 시조 1
상태바
거문고 시와 시조 1
  • 송학선
  • 승인 2017.09.25 1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콩밝 송학선의 한시산책 51] 거문고와 시조
(ⓒ 송학선)

거문고 시와 시조 1.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五帝의 마지막 군주인 제순유우씨帝舜有虞氏, 또는 중화씨重華氏라는 순舜 임금이 금琴을 연주하며 ‘남풍지훈혜南風之薰兮 가이해오민지온혜可以解吾民之慍兮 남풍지시혜南風之時兮 가이부오민지재혜可以阜吾民之財兮 남풍의 따스함이여, 우리 백성의 근심을 풀 것이로다. 남풍이 불 때 재물을 풍성하게 할 수 있구나.’라는 「남풍南風」 시를 노래합니다.

남훈전南薰殿 달 발근 밤의 팔원팔개八元八愷 다리시고
오현금五絃琴 일성一聲에 해오민지온혜解吾民之慍兮로다
우리도 성주聖主를 뫼으와 동락태평同樂太平 하리라
출전出典<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 452>

남훈전南薰殿은 위에서 이야기한 순舜 임금이 남풍가南風歌를 지어 오현금五絃琴을 타던 궁전입니다.
팔원팔개八元八愷에서 팔원八元은 고신씨高辛氏의 여덟 아들, 팔개八愷는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아들을 말합니다.
해오민지온혜解吾民之慍兮는 ‘내 백성의 한을 풀도다’라는 말입니다.
성주聖主는 덕이 뛰어난 어진 임금이겠지요.

남훈전南薰殿 순제금舜帝琴을 하은주夏殷周에 전해요셔
진한당晋漢唐 잡패간과雜覇干戈와 송제양宋齊梁 풍우건곤風雨乾坤에 왕풍王風이 위지委地하여 정성正聲이 긋첫더니
동방東方에 성현聖賢이 나계시니 탄오현彈五絃 가남풍歌南風을 니여볼가 하노라
출전出典<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 510>

순제금舜帝琴은 순舜 임금의 오현금五絃琴이고, 잡패간과雜覇干戈는 패도覇道가 섞인 싸움을 말합니다. 풍우건곤風雨乾坤은 싸움으로 어지러워 진 세상 일테지요. 위지委地는 ‘땅에 떨어 짐’입니다. 정성正聲은 악樂의 바른 소리 이구요. ‘니여볼가’는 ‘이어볼까’입니다.

바람에 우는 먹위 베혀내야 줄언즈면
해온남풍解慍南風에 순금舜琴이 되련만은
아마도 알리 업쓴이 글을 슬허 하노라
작가作家<이존오李存吾>  출전出典<이희승본李熙昇本 해동가요海東歌謠 264>

‘먹위’는 머귀 즉 오동나무를 말합니다. ‘해온남풍解慍南風에 순금舜琴’은 계속 이야기 한 순舜 임금이 백성의 한을 풀어달라며 남풍가南風歌를 지어 타던 오현금五絃琴 이구요.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한 성현成俔(조선朝鮮1439세종21∼1504연산군10)은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에서 “지난날 중화씨重華氏, 곧 순舜임금이 금琴을 연주하여 ‘남풍의 따스함이여, 우리 백성의 근심을 풀 것이로다. 남풍이 불 때 재물을 풍성하게 할 수 있구나’라는 「남풍南風」 시를 노래하여 근심을 풀고 재물을 풍성하게 하였고, 호파瓠巴가 거문고를 두드리니 하수河水의 물고기가 모여 이것을 들었지요.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연주하니 흐르는 강물과 높은 산이 뜻과 어긋나지 않았고, 사광師廣이 거문고를 연주하니 흰 고니가 날고 검은 학이 춤추었지요.”라고 말하며 거문고를 조정에서 쓰며 귀신의 뜻에 맞게 하여 사람의 마음에 합치하고 만물이 감응하게 하는 거라고 말합니다.

이러하듯 임금은 하늘의 뜻에 따라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했으니 거문고로 상징되는 세상의 소리를 삼라만상의 이치에 보응報應하는 율려律呂의 조화로 풀어내며 정치철학의 기본으로 삼습니다.

아, 율여律呂 이야기도 해야 하나요? 율여律呂 즉 육율六律과 육여六呂는 12개월의 기후에 배당하여 그 계절에 상응하는 음악을 연주하게 하여 음양陰陽 이기二氣를 조절한다는 겁니다. 천자문千字文에도 ‘율려조양律呂調陽’ 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율려律呂는 양陽을 조調한다. 즉 음악을 연주하여 음양을 조절한다’입니다.

그래서 우리 국악은 모두 12음률로 되어있는데 바로 육율六律과 육려六呂입니다. 12음율 중 홀수 번째에 해당하는 황종黃鐘, 태주太蔟,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 무역無射 여섯 음은 양陽에 해당한다고 해서 율律 또는 양율陽律, 육율六律이라 하고, 반면 짝수 번째의 대려大呂, 협종夾鐘, 중려仲呂, 임종林鐘, 남려南呂, 응종應鐘 여섯 음은 음陰에 해당한다고 해서 여呂 또는 음려陰呂, 육려六呂라고 합니다. 둘을 합쳐 율려律呂인게지요. 세종실록에 기록된 고대 악보인 율자律字의 12율명은 지금도 변함없이 악보의 기본명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간보井間譜로 정착된 기보법도 12율명으로 모든 것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거문고 한 번 배워 보시지요.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