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예방캠페인] 체계적인 대국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과제
상태바
[충치예방캠페인] 체계적인 대국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과제
  • 편집국
  • 승인 2003.08.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본 보에서는 날로 악화되어 가고 있는 국민들의 구강보건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예방사업’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충치예방연구회와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공중보건의사협회와 함께 올 상반기 2면의 지면을 할애해 충치예방 공동캠페인을 진행해 왔다.

첫 회에는 치과계 주체들의 기획좌담을 통해 충치예방의 중요성과 공동캠페인의 필요성에 합의했으며, 매 호 ▲구강보건정책의 현황 및 방향 ▲구강보건정책 개선 방향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구강병 예방전략에 대한 개원가의 실천방안 ▲구강보건교육 매체 자료의 개발현황 및 보급 방향이라는 주제로 캠페인을 벌였다.

이번 호에는 충치예방 공동캠페인 상반기 기획 마지막 회로 ‘체계적인 대국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과제’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충치예방 공동캠페인에 적극적인 지지와 관심 보내주신 점 감사드린다.
============================================================================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
구강병 예방을 위한 여러 방법들 중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증명되어 왔다.
구강보건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단지 국민들에게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을 전달한다는 차원뿐만 아니라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게 되고 그 결과로 구강 증진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를 바꾸어 행동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듯 구강보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구강병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에도, 앞선 기획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제대로 된 구강교육매체조차 개발·보급되어 있지 못하는 등 대국민 구강보건교육이 체계적으로 서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무엇보다 정부를 비롯한 주체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선행해야 할 것이지만, 체계적인 대국민 구강보건교육을 세우기 위한 과정과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과제에 대한 인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실시를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학습지도안 개발
우선 설정한 구체적인 학습목표를 전달하기 위한 교수·학습용 학습지도안을 개발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국의 보건조직과 대학 치과위생사 학생들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및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보건교육을 하고 있긴 하지만, 대상별 구강보건교육 목표의 제시와 그에 알맞는 규격화된 학습지도안이 마련되지 못한 채 각자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유치원생, 초등학생,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보건교사, 교장선생님 및 각 학교 책임자, 치과진료기관 내원환자 등 각각의 대상에 따른 학습목표안이 마련돼 있지 못한 것이다. 그로 인해 구강보건교육사업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부정확하고 제대로된 평가조차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제대로 된 구강보건교육을 위해서는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대상별 학습목표와 대상별 학습지도안(표1)을 개발하고 이를 전국 구강보건조직에 보급해야 구강보건교육을 규격화·체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지도안에는 대상별 목표 설정과 학습목표별 효과적 교수 방법 선정·제시 뿐만 아니라 단기계획으로 구체적인 학습목표에 의한 시(時)안 마련과 장기계획으로 년(年)안과 구강보건교육 평가도구를 함께 개발해 담아야 한다.

교육매체 제작·보급
교육매체란 교육이 실시되는 모든 현장에서 교육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모든 기구와 자료 수단과 방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무리 학습지도안을 올바로 만들었어도 설정된 학습목표와 그에 따른 효과적 교수 방법에 맞는 교육매체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교육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힘들다.
때문에 구강진료기관의 내원환자들에게 손쉽게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편리한 교육매체·도구를 개발해 보급하는 것도 구강보건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교육매체는 또한 학습목표별로 제작해야 하며, 교육매체 제시를 위한 기구(장비)도 함께 보급해야 한다.

교육자 양성과 조직 구성
교육은 피교육자와 교육자, 교육매개물에 의해 이뤄진다. 특히 구강보건교육사업을 확대시키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화된 교육자를 양성·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자가 구강병 예방에 대해 어떤 철학을 가지고 교수하는가에 따라 학습자의 동기가 부여되기도 하고 반대로 시간 낭비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교육자가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지식 뿐만 아니라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교육자 연수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이렇듯 양성된 교육자들은 지역별로 팀을 구성해 배치하는 것이 좋으며, 팀의 구성은 교육자(치과위생사)와 보조자 2인을 1팀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겠다.

교육 평가도구의 개발 및 활용
교육은 인간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므로 교육 후 의도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났는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평가과정을 통해 환류함으로써 교육자는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며, 또한 평가 결과를 제시하여 차후 사업을 진행할 타 단체들도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가 도구는 크게 ▲학습자 성취도 ▲교육 유효도 ▲구강보건증진도로 나누어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마치며
이상과 같이 체계적인 대국민 구강건강교육 방법을 마련하고 실시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구강건강 관리를 위한 올바른 습관을 길러줘 구강건강 수준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우리나라 구강보건교육사업의 새로운 모델(표2)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등 치과인들이 단지 구강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국민 구강보건 교육자로서의 지위를 확보함으로서 진정 국민의 구강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 집단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표1) 유아대상 학습목표

1. 유아는 잇솔질 시기를 알 수 있다 (지적영역-판단)
2. 유아는 잇솔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다 (정신운동영역-신체능력)
3. 유아는 치면세균막을 설명할 수 있다 (지적영역-이해)
4. 유아는 올바른 잇솔질을 할 수 있다 (정신운동영역)
5. 유아는 잇솔을 올바르게 보관할 수 있다 (태도영역)
6. 유아는 유치의 기능을 나열할 수 있다 (지적영역-지식)
7. 유아는 당(설탕)의 위해성을 말할 수 있다 (지역영역-이해)
8. 유아는 6세 구치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지적영역-지식)
9. 유아는 치아우식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지적영역-분석)

** 잇솔질 1∼5
** 구강건강 중요도 1, 4, 6∼8
** 구강건강과 치아우식 1, 4, 7, 9

표2) 새로운 모형 개발

1. 자료수집 ·국내외 구강보건교육관련 문헌 및 자료 수집
 ·국가 수준, 지역사회 수준의 구강보건교육 목표와 외국의 구강보건교육 목표 분석
2. 교육목표의 선정 예)7세
3. 교안 작성 교수방법과 교육매체 선정
4. 평가서 개발 교안에 근거한 평가항목 개발
5. 교육매체 제작 교육목표와 교수방법에 적합한 교육매체 개발
6. 시범교육 제작된 매체를 활용해 학습목표, 교안 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평가하고 항목 수정
7. 연수 구강보건교육에 직접 참가할 구강보건교육자 교육
8. 교육 실시 현장을 방문해 구강보건교육 실시
9. 평가 6개월을 주기로 2회 교육을 실시하며 교육 실시 전과 교육 후 일정기간 뒤 평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