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왜 선진국이 아닌가?
상태바
인도는 왜 선진국이 아닌가?
  • 박준영
  • 승인 2021.07.28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속 세상읽기- 서른 두 번째 이야기

크로스컬처 박준영 대표는 성균관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에서 영화를 전공했다. 언론과 방송계에서 밥을 먹고 살다가 지금은 역사콘텐츠로 쓰고 말하고 있다. 『나의 한국사 편력기』 와 『영화, 한국사에 말을 걸다』 등의 책을 냈다. 앞으로 매달 1회 영화나 드라마 속 역사 이야기들을 본지에 풀어낼 계획이다.(*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 편집자 주

(사진출처= 다음영화)
(사진출처= 다음영화)

오래 전 인도영화제를 기획하기 위해 인도 뭄바이에 출장간 적이 있다. 빈부의 격차가 지구상에서 가장 크다는 도시다. 이곳에서도 하필 가장 가난한 동네의 중심에 우뚝 솟은 호텔에 머물렀다.

햇살이 잦아지는 저녁 무렵 함께 간 선배와 거리 구경에 나섰다. 도로 곳곳에 아무데서나 자는 사람들과 굶주림에 지쳐 거리에 나뒹구는 피부병 걸린 개를 보면서 얼른 숙소로 돌아가고 만 싶었다. 가로등이 없어 자칫하면 맨홀에 빠질 수 있기에 극도의 긴장감을 갖고 걸어야 했던 아찔한 시간들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규모와 잠재력 등의 국가 경쟁력은 높지만 여전히 개인 소득은 하위를 달리고 있는 인도의 실상이 지금도 크게 변한 것 같진 않다.

이런 인도의 현실을 풍자와 위트를 넣고 페이소스로 간을 맞춘 영화 『화이트타이거』는 여는 발리우드(인도에서 만들어지는 헐리우드 스타일의 대중영화) 영화와는 결이 다르다. 성공한 실업가 발람(아르다시 구라브)이 등장하는 첫 장면 독백이 이 영화의 지향점을 말해준다. “인도는 두 나라로 구성된다. 빛의 인도와 어둠의 인도이다. 그리고 두 개의 계층이 존재한다. 배부른 계층과 배가 고파 죽어가는 인도다.”

영화는 맨부커 상을 수상한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밑바닥 계층 흙수저 청년의 자수성가 이야기로 흥미롭게 이야기가 시작된다. 주인공은 한 세대에 단 한번 정글에 나타난다는 가장 희귀한 짐승인 백호(white tiger 여기서 화이트타이거는 엄청난 부자를 뜻한다)가 되고자 다짐하고 빈민촌을 떠나 델리로 무작정 상경, 어렵사리 부잣집 운전기사가 된다. 그러나 인도의 중첩된 여러 위선과 마주치며 끝내 좌절하고 결국 다른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인도가 진정한 선진국이 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카스트제도가 법률로는 없어졌지만 아직도 현실에 엄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영화는 총체적으로 반영한다. 발람은 인도에서 신분을 극복하는 방법은 범죄 아니면 정치라고 믿고 있다. 그래서 먼저 정치에 손을 내밀어 본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위대한 사회주의자’당을 지지해 왔고 ‘사회주의자당’은 자신들과 같은 사람을 위해 싸워주리라 기대했지만 그 당의 지도자가 버젓이 돈 가방을 뇌물로 받는 모습을 보고 깨닫는다. 역시 기댈 것은 돈밖에 없고 돈은 불법으로만 모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인공 발람은 원하는 부자가 되고 만다. 그러나 여전히 카스트체제 내 먹이사슬에서 한 발자국도 자유로울 수 없다. 여기에 약탈적 천민자본주의까지 가세해 이중적 노예가 되어가고 있다. 아직 인도는 갈 길이 멀어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