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치대 동창회도 '치전원 잔류' 분노
상태바
부산치대 동창회도 '치전원 잔류' 분노
  • 윤은미 기자
  • 승인 2010.11.25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8일 확대이사회 열고 '치대복귀' 결의…오늘(25일) 성명내고 강력촉구

 

“학내 개선의 열성과 노력 없이 단순히 치전원 체제에 의지해 발전을 도모하는 모교의 근시안적 발상을 강력히 규탄한다”

전남 치대‧치전원 동창회(회장 양혜령)가 지난달 모교의 치전원 체제 유지 결정에 결별을 선언한 데 이어 부산 치대‧치전원 동창회(회장 한상욱) 역시 모교의 치전원 잔류 결정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혀 대학과 동창회 측의 내분이 극으로 치 닫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창회는 지난 8일 현 동창회 임원, 역대회장단, 대의원회 의장단, 지역지부장과 함께 확대 이사회를 열고, 모교에 치과대학 복귀 결정을 강력히 촉구키로 결의, 오늘(25일) 성명을 발표했다.

동창회가 모교의 치전원 잔류에 결사 반대 입장으로 나선데는 ▲학부모 교육비 부담 증가 ▲이공계 고사 극대화 ▲지역 인재 타지역으로의 유출 우려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동창회는 “학교 측이 주장하고 있는 치전원체제 유지에 따른 하드웨어적 장점은 치과대학 체제에서도 열성과 노력을 통해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부분”이라면서 “단순히 치전원 체제 유지에 기대 이를 얻어내고자 하는 것은 근시안적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참고로 동창회는 지난 8일 확대이사회 이 후 성명서를 작성하는 한편, 전체 동문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병행해 현재 1천 여명의 동문 서명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난 23일 학교 측과 간담회를 가졌으나 끝내 타결을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창회 김동수 총무이사는 “이번 성명서에서는 단순히 동문들의 전반적인 의견을 전달하는 정도에 그쳤으나 학교 측이 끝내 체제 유지를 고집할 경우 구체적인 행동에 나설 것”이라면서 “향후 모교의 입장 변화에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학교 측도 다음달 1일 교수회의를 열고, 이번 사안을 재검토·논의할 계획이라 입장변화 및 대응책에 귀추가 주목된다.

 


 


성 명 서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동창회는 지난 11월 8일 현 동창회 임원, 역대회장단, 대의원회 의장단, 지역지부장들을 포함한 확대 이사회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의하였습니다.

-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은 금번 학제개편 과정에서 치과대학으로 복귀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치과대학으로의 복귀를 희망하는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치의학전문대학원 체제는 교육내용의 변화는 가져오지 않은 채 치과의사 면허 취득에 소요되는 기간만을 늘려 학부모 교육비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 전문대학원 체제의 초기 목적은 기초치의학자 양성이었으나 실제 시행해본 결과 오히려 이공계를 고사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있다.
- 부산·경남 지역에 유일한 치의학교육기관인 부산대가 전문대학원 체제르 유지한다면 지역 인재가 타지역으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지역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 국내 대다수 의과대학과 치과대학이 대학으로의 복귀를 선택하였다는 것은 대학체제의 장점이 더 많음을 의미한다.
- 학내에서 주장하고 있는 치전원체제 유지에 따른 하드웨어적 장점은 치과대학 체제에서도 열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얻어낼 수 있는 부분으로 단순히 치전원 체제 유지에 기대어서 얻고자 하는 것은 근시안적 발상이다.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제개편 과정은 대학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 졸업생들의 의견도 반영되어야 합니다. 동창회가 학내 문제를 간섭해 학교 운명을 결정짓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평소 학교에서도 졸업생들이 학교 발전에 일정한 역할을 해 줄 것을 강조해왔습니다. 그 역할이라는 것이 단순한 기부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학제 개편과 같은 중요한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내어놓은 것도 동창회의 역할 중 하나라고 생각되며 동창회는 치과대학으로의 복귀를 희망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2010년 11월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동창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