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영리병원 NO! 공공의료 확대해야“
상태바
"제주영리병원 NO! 공공의료 확대해야“
  • 문혁 기자
  • 승인 2019.02.14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영리병원 저지를 위한 1인시위] 3일차…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대구지회 이채령 사무장

'제주영리병원 철회와 의료영리화 저지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이하 범국본)'가 지난 11일 결의대회 직후 청와대 앞 노숙농성을 시작한 데 이어 12일부터는 노숙농성과 함께 1인시위 및 대국민선전전을 본격 시작했다.

범국본은 노숙농성과 1인시위, 대국민선전전을 오는 23일까지 청와대 앞에서 매일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본지는 영리병원 저지를 위한 투쟁에 나선 이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이채령 사무장

“제주영리병원은 공공의료의 붕괴다”

14일(오늘)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위원장 나순자 이하 보건의료노조) 보훈병원지부 대구지회 이채령 사무장이 제주영리병원 저지를 위한 1인시위에 나섰다. 

이채령 사무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해 계속 병원 서비스를 이용중인 당사자로서 ‘공공의료의 확대’의 절실함을 전하며, 의료의 본질은 공공임을 강조했다. 다음은 이채령 사무장과의 일문일답이다. 

Q. 1인시위에 왜 나서게 됐는가?

나는 척추층만증과 추간판탈출증 2가지 만성 질환으로 병원 서비스와 삶을 떼어낼 수 없는 처지다. 계속 재활‧물리치료와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데 병원비 감당이 안 될 정도였다. 한번 치료하는데 3~6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드는데, 한 달로 치면 40~50만 원 가량의 병원비가 들었다.

병원비로 생활이 힘들어져도 국가나 제도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마침 사정을 딱히 여긴 개인의 도움으로 병원 치료비 감면 혜택을 받아 장기간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치료가 절실한 나 같은 이들을 위해서도 의료 단가는 더욱 낮아져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던 차에 영리병원 문제가 터졌다. 이는 그 반대로 가는 것이다.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 시민들에게 이 사실을 더 널리 알리고 싶어 참가했다.

Q. 시민들에게 영리병원을 소개한다면?

제주영리병원 개원의 불법적 요소가 드러남에 따라 논란이 커지고 있어, 3월에 실질적으로 개원이 가능할까? 하는 희망이 생긴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민들에게 충분히 이슈가 되지 못하고, 영리병원이란 단어도 완전히 와닿지 못한 것 같아 이를 쉽게 전달하는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주위 사람들에게 영리병원 문제를 설명할 때 되려 지금 의사들 돈 잘 버는데, 영리 추구하는 거 아니냐? 영리병원이 따로 있냐? 이런 말들을 많이 듣는다. 

단어에 대한 오해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많이 고민된다. 영리병원을 ‘의료비 전액 국민부담 병원’이라고 하면 확 와닿을 것 같다.

의료의 개념과 취지는 이윤 추구가 아닌, 필수불가결한 국가 공공재라고 생각한다. 사실 의료앞에 ‘공공’이 붙는 것도 이상하다. 민영화니 영리화 이야기로 마치 이윤이 선택 옵션처럼 여겨지게 됐다.

시민들이 의료는 공공성에 기반한다는 명확한 인식을 가졌으면 좋겠다.

Q. 원희룡 도지사나 현 정부에게 하고픈 말이 있다면?

원희룡 도지사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불리한 요소를 은폐하면서 제주도민들이 제주영리병원에 찬성하도록 유도한 것이 아닌가? 사기꾼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우리나라에 영리병원을 들이지 않겠다고 약속을 했다. 그러나 지금 불법적 요소가 드러남에도 강력하게 움직이지 않고, 시민단체나 노조에게 떠맡기고 발을 빼고 있다. 너무 무책임하다.  

Q. 영리병원 철회를 위한 한 마디!

소득에 상관없이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의료 처지를 제때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

제주영리병원 철회와 의료영리화 저지를 위한 범국본 노숙농성이 3일차를 맞이했다.

한편 이날 범국본 청와대 앞 농성 및 아침선전전에는 보건의료노조 서울지역본부, 보건의료노조 대구경북지역본부,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참가했다. 

(왼쪽부터)임인철 파티마병원지부장, 강동민 조직부장, 현정희 의료연대본부장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