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너’… 전태일의 심오한 자각
상태바
‘나와 너’… 전태일의 심오한 자각
  • 송필경
  • 승인 2024.03.12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설·시론] 송필경 논설위원

전태일은 아름답고 비장하면서도 심오한 글로 쓴 유서 3편을 남겼다. 1969년 11월에 쓴 첫 번째 유서의 마지막 글이다.

"아, 너는 나의 나다. 친구여 만족하네."

1970년 4월에 쓴 두 번째 유서는 이렇게 시작했다.

"사랑하는 친우여, 받아 읽어 주게.
친구여 나를 아는 모든 나여, 나를 모르는 나여…"

1970년 8월 9일의 마지막 유서에는 이런 글이 있다.

"나를 버리고 나를 죽이고 가마, 조금만 참고 기다려라. 너희들의 곁을 떠나지 않기 위하여 나약한 나를 다 바치마. 너희들은 내 마음의 고향이다."

세 편의 유서를 관통하는 핵심은 ‘나와 너’의 관계이다. 이제까지, 일반적으로, 그리고 나의 의식 속에서 ‘너’는 나에게 ‘남(타자)’이다.

그런데 전태일의 유서에서는 ‘너는 나, 나는 너’였다.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웠다. 빅토르 위고는 이런 글을 남겼다.

"내 삶이 당신의 삶이고, 당신의 삶이 나의 삶.
내가 사는 것을 당신이 사니, 운명은 하나다!"

한 없이 따뜻한 연민으로 『비천한 사람들(레미제라블)』이란 위대한 혁명소설을 쓴 대문호의 글에서 ‘너와 나’의 운명이 하나임을 발견했다. 전태일의 ‘나와 너’의 의미가 좀 더 또렷이 다가왔다.

(사진제공= 송필경)
(사진제공= 송필경)

나는 왕조체제의 세습적 계급윤리의 타파를 설파한 수운 최제우와 자본주의 노동착취에 저항한 전태일을 우리나라 근대인물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인물로 꼽는다.

대동(大同=평등) 세상을 꿈꾼 두 사람은 윤리적이며 실천적인 혁명가로 불러야 마땅하다. 요즘 수운 최제우를 알기 위해 정지창 선생이 소개한 『개벽사상과 종교공부』를 읽고 있는데 그 중에 내 눈을 끈 글이 있다. ‘왜 너는 나의 나일까?’란 의식이 명료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수운의 깨달음은 ‘시천주(侍天主)였다. 이는 ‘내 안에 하늘님이 모셔져 있다. 나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하늘님을 모시고 있다’는 진리다. 곧 모든 사람들이 자기 안에 거룩한 하늘을 모시고 있다.

진정 하늘을 위한다는 자세는 공중에 계신 하늘이 아니라 내 안에 계신 하늘, 동시에 나에게만 있지 않고 모든 사람들 속에 있는 하늘을 발견해 만인을 공경하는 일이다. 그러니 양반과 상놈, 남녀 차별은 있을 수 없다.

전태일은 재주가 뛰어나 쉽게 재단사가 될 수 있었다. 시다 월급이 1,500원일 때 재단사는 20,000원 이상 받았다.

그러나 시다인 너=‘어린’, ‘여성’, ‘노동자’가 비참하게 당하는 노동착취를 외면할 수 없어 돈을 버리고, 계층상승을 버리고 노동투쟁에 뛰어 들었다.

나와 너 모두의 마음 속에 하늘이 있다. 그러니 나와 너 사이에 차별이 있을 수 없다. 전태일에게 너의 삶은 곧 내 삶이니 너와 나는 한 운명이다. 너야말로 내 마음의 고향이다. 그러니 나는 너를 버리고 떠날 수 없다.

위대한 통찰력이 보여주는 세계는 시공을 초월한다. 전태일은 시공을 초월해 수운과 한 몸으로 이어졌다. 두 사람의 존재는 우리 역사에서 큰 축복이었다. 두 사람의 정신을 제대로 엮으면 ‘평등 세상’을 꿈꿀 수 있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