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계획‧무책임한 윤석열 표 의대증원 안
상태바
무계획‧무책임한 윤석열 표 의대증원 안
  • 안은선 기자
  • 승인 2024.02.07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연합, 정부 의대 증원 안 우려 표명…“공공의료기관 확충‧양성 배치 국가 책임 필요”

정부는 지난 6일 이번 2025학년도부터 5년 간 매년 2천명 씩 의대 입학 정원을 늘려, 지금보다 1만 명을 더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늘어나는 정원은 비수도권 의대에 집중 배정하고, 해당 지역 출신 졸업자를 뽑는 지역인재 전형 비율은 현재 40%에서 60%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이하 보건연합)은 오늘(7일) 성명을 내고 정부의 무계획적이고 시장방임적인 의대 증원을 비판했다.

보건연합은 “많은 국민들이 체감하듯 지역‧필수‧공공 부문에 의사가 부족해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으며, 의사협회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에는 의사가 부족하고 고령화로 앞으로 더욱 부족해질 것”이라면서도 “지금도 단지 숫자가 부족한 것이 아니고, 배출된 의사 다수가 피부‧미용‧성형에 종사하거나 개원가에서 비급여 돈벌이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구조를 고스란히 유지한 채로 의사를 2천명 씩 늘린다고 해도 그 의사들이 지역‧필수‧공공 부문에 일하리라는 보장은 없다”면서 “정부는 비수도권 의대 집중 배정, 지역인재 전형 60%를 말했을 뿐 공공적 양성과 배치, 의무복무 정책과 통제 수단은 없다”고 짚었다.

또한 보건연합은 “2020년 문재인 정부의 의대증원 안은 대부분 지역에 의무복무하는 지역의사제도가 바탕이며, 적은 수이지만 공공의대 신설 약속도 있었다”면서 “우리는 그것도 지역‧공공의료 살리기에는 통제기전이 미흡하다고 비판했는데,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안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시장 방임적이며, 공공적 정책 수단은 사실상 전무하다”고 비판했다.

게다가 지난달 30일 윤석열 대통령은 민생토론회에서 ‘의료개혁 추진 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측면이 함께 가야되며, 많은 의과학자와 의료 관련 사업가를 양산시켜야 된다’라고 발언해, 이번 의대 증원 역시 현재의 의료공급 문제 해결보다는 의료 영리화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보건연합은 “국민 대다수와 환자들에게 공감하지 못하고 자그마한 개혁도 반대하며 코로나19 와중에 진료거부까지 했던 의사들에 대한 반감 때문에 의대 증원 규모 문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큰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틈타 정부가 2천명 증원이라는 숫자만 앞세운 ‘충격요법’을 꺼내든 것은 총선을 앞둔 정치적 수단이지 제대로된 보건의료 정책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특히 이들은 “이처럼 무계획적이고 시장 방임적으로 늘리는 것은 단순히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기존에 의사들이 되풀이 해 온 상업적 의료행태를 더 양산하고 과열시킬 우려마저 크다”고 재차 지적하면서 “시장주의적 낙수효과에 의존하는 의대 증원이 아니라 공공의료기관을 확충하고 국가가 양성과 배치를 책임지는 인력 양성, 공공적 의대 증원 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래는 성명서 전문이다.

[성명] 

정부의 무계획적, 시장 방임적 의대증원 발표를 규탄한다.
- 공공적 양성과 배치 수단 없는 의대증원 무용하다.

 정부가 어제(6일) 향후 5년간 2천명씩의 의대증원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많은 국민들이 체감하듯 지역‧필수‧공공 부문에 의사가 부족한 현실은 심각한 문제들을 낳고 있다. 의사협회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에 의사는 부족하고, 고령화로 앞으로 더욱 부족해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늘리느냐보다 '어떻게' 늘리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 지금도 단지 숫자가 부족한 것은 아니다. 배출된 의사들 다수가 병원에서 사람을 살리기보다는 피부‧미용‧성형에 종사하거나 개원가에서 비급여 돈벌이를 하고 있다. 지금의 필수의료 붕괴는 의료의 공급과 인력의 양성‧배치가 오직 시장에 맡겨져 있어서다. 대도시와 수도권에, 비급여로 손쉽게 돈벌이할 수 있는 부문에 자원과 인력이 몰리는 게 당연한 구조다.
 이런 구조를 고스란히 유지한 채로 의사를 2천 명씩 늘린다고 해도 그 의사들이 지역‧필수‧공공 부문에서 일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정부는 공공적 양성과 배치, 의무복무 정책을 내놓지 않았고 공공의대에는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바가 있다. 비수도권 의대 집중 배정과 지역인재 전형 60%를 말했을 뿐이다. 이렇게 배출된 의사들이 수도권 대도시에서 비급여 돈벌이를 한다 해도 정부는 통제할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오히려 정부는 그런 돈벌이를 통제하긴커녕 적극 장려하고 있다. 대통령은 지난주 ‘민생’ 토론회에서 “의료개혁이라는 것을 추진해 나갈 때 …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라는 측면을 꼭 함께 가야 된다”며 “많은 의과학자와 의료 관련 사업가를 양산을 시켜야 된다”고 한 바가 있다. 정부의 의대 증원은 이처럼 복지와 의료 공공성 증대보다는 의료 영리화와 더 맞닿아 있다.
 2020년에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의대증원 안은 대부분 지역에 의무복무하는 지역의사제도를 바탕으로 했고, 적은 수이지만 공공의대 신설 약속도 있었다. 그것도 우리는 지역‧공공 의료를 살리기에는 통제 기전이 미흡하다고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안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시장방임적이며, 공공적 정책수단은 사실상 전무하다.
 국민 대다수와 환자들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그마한 개혁도 반대하며 코로나19 와중에 진료거부까지 했던 의사들에 대한 반감 때문에, 의대 증원의 규모 문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큰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을 틈타 정부가 2천명 증원이라는 숫자만 앞세운 ‘충격요법’을 꺼내든 것은 총선을 앞둔 정치적 수단이지, 제대로 된 보건의료 정책이라고 할 수 없다. 게다가 이처럼 무계획적이고 시장 방임적으로 늘리는 것은 단지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기존에 의사들이 되풀이해 온 상업적 의료행태를 더 양산하고 과열시킬 우려마저 크다.
 시장주의적 낙수효과에 의존하는 의대 증원이 아니라 공공의료기관을 확충하고, 국가가 양성과 배치를 책임지는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정부가 정말로 필수의료를 살리고 싶다면 시장실패를 답습하지 말고 공공적 의대 증원 안을 내놓아야 한다.

 2024년 2월 7일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